건강한 가족 이란?
◑ 소통이 있어야 한다.
◑ 감정의 수용이 있어야 한다.
◑ 합리적 생각이 있어야 한다.
◑ 행동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.

1. 건강한 가족은 대화가 이루어지는 가족이다.
◑ 자아 분화가 필요하다
◑ 자아 분화란 가족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것이다.
◑ 정신내적 기능 - 사고와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.
◑ 대인관계적 기능 - 자신과 타인 사이의 분리를 할 수 있는 능력.
2. 건강한 가족은 자아분화가 이루어진 가족이다.
< 자아분화가 낮으면>
◑ 삶의 에너지가 대부분 인정욕구에 있으며 불안 수준이 높다.
◑ 사고와 감정이 분화되지 못해 감정에 빠져 사는 경우가 많다.
◑ 타인의 비판과 칭찬에 민감하다.
<자아분화가 높으면>
◑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.
◑ 사고와 감정이 분화되어 있어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다.
◑ 불안 수준이 낮아서 스트레스 상황을 잘 견딘다.
건강한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의 구조

가족의 규칙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
가족 규칙 | 가족의 규칙, 역할이 완고하다. |
가족의 규칙, 역할이 융통성이 있다. |
설명 |
부모가 정한 규칙을 자녀가 지키지 않을 때 완고한 태도로 자녀를 대한다. |
부모가 정한 규칙이라 하더라도 자녀의 수준과 능력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. |
가족간의 경계선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|
가족간의 경계선 | 세대 간의 경계가 불분명하다. | 세대 간의 경계가 명확하다. | |
설명 |
건강한 경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가족은 경계가 너무 약하거나 강하여 너무 밀착되어 있거나 반대로 거리감이 있다. |
건강한 경계를 가지고 있는 가족은 너무 경직되어 있지 않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. |
가족의 통제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
통 제 | 강한 통제나 강한 의존성이 높다. | 자율적인 책임을 강조한다. |
설 명 |
힘이 강한 권위자의 말을 무조건 듣고 따르지 않으면 처벌이 있다.
권위자의 눈치를 본다. |
힘이 강한 권위자의 말에 의존하기 보다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살아간다. 실수하더라도 기회를 준다. |
가족간의 책임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
책 임 | 한 사람이 희생양이 된다. | 적절히 분배된 문제의식을 가진다. |
설 명 |
자가가 약한 사람이 가족 전체의 모든 문제를 뒤집어쓰고 다른 가족은 자신의 문제를 보지 못한다. 문제가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문제를 감추기 위해 애를 쓴다. |
가족 전체가 서로 문제가 조금씩 있음을 인정하며 각자의 약함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. 가족의 자원이 풍부하다.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기 때문에 가족의 자원이 풍부하다. |
가족간의 협상과 조정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
협상과 조정 | 상호간의 협상과 조정이 어렵다. | 상호간의 협상가 조정이 언제든 가능하다. |
설 명 |
가족이 서로의 원함과 의견을 이야기해도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. 협상과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방적으로 문제가 해결이 된다. 승패, 패승의 관계가 된다. |
서로의 원함과 의견이 자유롭게 표현이 가능하며 의견을 나누고 타협하는 시간을 자주 가진다. * 승승의 관계가 된다. |
가족간의 기대 수준
역기능적인 가족(건강하지 못한가족) | 기능적인 가족(건강한가족) | |
기대 수준 |
비현실적이며 이상적인 기대와 욕구가 있다. |
현실적인 기대와 욕구가 있다. |
설 명 |
가족의 능력과 수준에 따라 기대를 가지지 않고 자신의 원함(특히 힘이 있는 사람)이 자신의 기대를 일방적으로 가족에게 가지며 기대가 충족되지 않을 때 실망한다. |
기대를 가족의 능력에 따라 가지므로 서로간에 좌절이 적고 긍정적인 관계가 가능하다. |
'마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정적인 정서로인해 생기는 심리적인 장애들 (18) | 2020.05.08 |
---|---|
분노와 수치심의 관계(수치심의 형성) (0) | 2020.05.08 |
아동학대를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하는이유 (41) | 2020.05.05 |
미술 심리 테스트, 색채, 공간, 도형에대한 심리적인 해석 (55) | 2020.05.03 |
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원인과 진단 (42) | 2020.05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