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 3차 추가 경정예산이 확정되었다고합니다. 기획제정부에서 당초 정부에서는 35조 3천억원 규모의 정부예산안을 가지고 있었는데, 최종 국회에서는 35조 1천억원으로 확정되었다고합니다.
● 1년에 3번이나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한 것이고 규모로도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. 2020년 제 3차 추가경정예산 수혜지는 892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합니다.
1.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위기를 겪는 근로자. 실업자 지원 - 321만명
1) 고용유지 및 일자리 창출 - 142만명
● 고용유지를 위해서 실직위기 근로자 대상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(87만명)
● -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 일경험.지지털, 희망근로 등 직접일자리 제공 (55만명)
2) 고보사각지대 및 실업자 - 179만명.
● 소득이 급감하여 생계유지가 어려운 고보사각지대의 특고, 프리랜서 등 대상 긴급고용안정지원금 150만원 지급. (114만명)
● 실업자에 대해 120~270일간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%(1일 상황 6.6만원)를 지급하는 구직급여 확대.
(49만명)
● 실업자 및 무급휴직자 직업훈련(내일배움카드) 지원. (12만명)
● 무급휴직자, 특고 대상 지업훈련생계비 최대 2천만원 융자. (2만명)
● 저소득. 소득감소 근로자 대상 생활안정자금 최대 3천만원 융자. (2만명)
2. 소상공인 및 위기기업 금융지원 : 101만명~ (위기기업)
1) 소상공인 - 101만명.
● 100만명에게 1인당 1천만원씩 총 10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는 소상공인 2단계 지원 프로그램 지원.(100만명)
●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장애인(2.000명), 청년(3,000명), 소상공인 대상 경영안정자금 융자 1인당 1천만원 지원. (0.5만명)
● 코로나19로 불가피하게 폐업한 소상공인의 폐업정리 컨설팅 및 점포 철거비.(개소당 2백만원) 등 지원 (0.5만명)
● (기업지원) 자금공급 경색으로 흑자도산 등 위기에 처한 기업대상 긴급유동성 공급.(135조원+ )
3. 코로나19 방역지원 및 위기가구 생계지원 등 : 472만명.
1) 코로나19 방역지원 - 456만명.
●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의 동시유행 방지를 위해 만 14~18세, 만 62~64세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 (456만명)
2) 위기가구 - 4.8만명.
● 실직, 폐업 드으로 인한 위기가구에 대한 긴급생계비 123만원(4인 가구 기준) 등을 지원하는 긴급복지 프로그램. (4.8만명)
3) 저신용 근로자 및 청년, 대학생 - 11만명.
● 민간금융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.저소득 근로자 대상으로 최대 1.500만원을 대출하는 햇살론 0.8조원 공급. (8만명)
● 대학생, 미취업청년을 대상으로 최대 1,200만원을 대출하는 햇살론(youth) 0.1조운 공급. (3만명)
★ 해당사항이나 자세한 내용은 주민센터나 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하셔서, 늦지 않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난지원금 할인쿠폰 선착순지급 (3) | 2020.07.10 |
---|---|
공적마스크 폐지, 7월 12일 (5) | 2020.07.08 |
2차 긴급재난지원금 긴급생계비 추가지급 지역 10곳 (6) | 2020.07.03 |
2차 긴급재난지원금, 긴급생계비 지원 지역과 준비중인 지역 (4) | 2020.06.16 |
코로나19 감염 사태 이후 달라진 긴급 생계비지원(긴급복지지원제도) (7) | 2020.06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