◆ 7월 12일부터 공적마스크제도가 사라지고 시장공급체계로 전환된다고합니다.
공적 마스크, 시장 공급 체계로 전환 (식품의약품안전처)
● 보건용 마스크 공적 공급 중단. 수술용 마스크 의료기관 공적 공급 확대.
º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이의경)는 현행 공적 마스크 공급 체계를 '시장형 수급관리 쳬계'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긴급수급토정조치를 제정하여 7월 12일부터 시행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.
º 이번 조치는 지난 2월 12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'긴급수급조정 조치'의 유효기간이 7월 11일로 만료됩에 따라, 생산 확대, 수요 안정 등 그동안 변화된 마스크 수급 상황을 반영하는 한편, 다변화된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하였습니다.
마스크 긴급수급 조정조치 운영 방향.
1. 공적 공급에서 시장공급 체계로 전환.
● 시장 기능을 통해 합리적 가격 달성, 다변화된 수요 충족
2. 보건용 마스크, 취약지역, 의료기관 안정공급 기반 구축.
● 도서. 산간 지역 등 구매 접근성 보완, 민관협의체 운영.
3. 수술용 마스크, 공적 공급 비율 확대 (60%~80%)
4. 보건용 마스크, 수출 허룡량 당일 생산량의 30% --> 월별 총량제.
5. 가격. 품절률 등 시장 모니터깅 강화 및 불공정 거래 강력 단속.
마스크 생산 동향. (단위: 만 개)
국내 마스크 생산업체, 허가품목 현황.
● 보건용 마스크
기존 125개 업체 953품목에서 225개 업체 1,542품목으로 늘린다고합니다.
● 수수술용 마스크
기존 27개 업체 60품목에서 37개 업체 78품목으로 늘린다고합니다.
● 비말차단용 마스크
기존 4개업체 9품목에서 69개 업체 140품목으로 늘린다고합니다
수요 공적 마스크 구매량 및 구매자 수 동향.
● 공급이 확대됨에 따라 수요가 안정되고 있습니다. 그간 두 차례에 걸친 구매 수량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급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
가격 KF94 보건용 마스크 가격 동향.
● 온. 오프라인 평균가격이 2월 4주 각각 4,221원, 2,751원 이었으나 생산, 공급 확대에 따라 7월 1주에는 각각 2,100원, 1,694원으로 점차 안정화 되고 있습니다.
시행 개편방안 요약.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 수원지역 진아유치원생 확진, 수원시 영통구 10대미만 1명 확진 (2) | 2020.07.14 |
---|---|
재난지원금 할인쿠폰 선착순지급 (3) | 2020.07.10 |
3차 추가경정예산 확정. 내가받을 지원금 혜택은? (5) | 2020.07.07 |
2차 긴급재난지원금 긴급생계비 추가지급 지역 10곳 (6) | 2020.07.03 |
2차 긴급재난지원금, 긴급생계비 지원 지역과 준비중인 지역 (4) | 2020.06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