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 얼마전에 잠자던 4세 여아를 때려서 숨지게한 여중생이 재판결과 '충동조절장애' 로 인한 심신미약을 인정받아 법원 상해치사 혐으로 장기 징역 3년, 단기 징역 2년 선고를 받았는데요.
충동조절장애란 무엇인가
충동조절장애의 진단적 특징
● 행위의 동기가 분명하지 않고,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칠 만한 행동을 하려는 충동, 욕동, 유혹에 저항하고 억제하지 못하고 이를 반복한다.
● 충동억제에 대한 긴장을 이기지 못하고 일단 실행하여 쾌감, 만족감, 해방감을 경험한다.
●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스스로 이상하다고 느끼지 않으며, 대개 행위 후 자책, 후회 죄책감이 없다.
충동조절장애 진단기준
● 심각한 공격적 행위나 재산파괴를 초래하는 공격적 충동을 저지하지 못하는 불연속적인 삽화, 삽화 동안 나타나는 공격성의 정도가 촉발적인, 정신사회적인 압박감에 비례하지는 않는다.
● 공격적 삽화가 다른 정신장애( 반사회성 인격장애, 품행장애 등)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으며 약물남용 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(두부 외상, 알츠하이머 등)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.

충동조절장애의 특징
● 폭발적인 삽화와 삽화 사이의 기간 동안 일반화된 충동성이나 공격성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.
● 자기애성, 강박성, 편집성, 정신분열성 인격 특성의 개인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분노를 폭발적으로 분출하기 쉽다.
● 이 장애로 인해 직업상실, 정학, 이혼, 대인관계의 어려움, 사고 및 입원 또는 투옥이 초래될 수 있다.
충동조절장애의 검사소견
● 비특정적인 뇌파소견, 또는 신경심리적 검사에서 이상반응이 나타난다.
● 세로토닌 대사의 변화가 총동적, 폭발적인 일부 개인들의 뇌 척수액에서 발견된다.
충동조절장애의 원인
● 가족사와 유전적 연관이 있다.
● 신경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전전두피질의 활성화가 낮다.
●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하다.
충동조절장애의 유병률
● 미국에서 약 7.3의 유병률이 나타났다.
● 다른 장애와 공존율이 높고 평균 발병 연령은 14세이다.
● 대략 2:1의 비율로 남성에게서 우세하다.

충동조절장애 에 속한 하위장애들.
● 간헐적 폭발성 장애 : 심각한 폭력이나 재산의 파괴를 초래하는 공격적 충동에 저항하지 못하고 폭발한다.
● 병적 도벽 : 자신에게 필요가 없는 물건을 춤치려는 충동을 이기지 못하고 도벽 행위를 한다.
● 병적 방화 : 기쁨, 만족, 긴장완화를 위해 불을 지르는 행위를 한다.
● 병적 도박 :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부적응적 도박행동을한다.
● 이밖에도 달리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들이 있다.
'마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(ADHD) 진단과 치료 방법 (31) | 2020.05.16 |
---|---|
[부부심리]부부갈등, 부부문제를 해결하는 여러가지 유형의 부부 (27) | 2020.05.15 |
[진로적성검사]나의 진로는 어디에있을까? (8) | 2020.05.11 |
[성격심리]성격이 만들어지는 이유 (18) | 2020.05.11 |
분노를 조절하는 5가지 방법(분노조절 5단계) (26) | 2020.05.09 |
댓글